본문 바로가기
Nursing

뇌하수체 종양의 증상 및 치료

by 고라니여우 2022. 11. 8.

뇌종양, 뇌졸증이라는 것은 이제는 젊은 사람들에게도 스쳐지나갈 수 없는 단어가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뇌 종양 중에서 뇌하수체의 장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뇌하수체는 시상하부와 연결되는 완두콩만한 작은 크기이며 무게는 0.5g정도 되는 내분비샘입니다. 이 샘에서 분비되는 자극호르몬에 의해서 인체의 신진대사에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주인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하여 주인샘이라고 불릴만큼 각종 호르몬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뇌하수체에 종양이 생길 경우 기능이 너무 과다하거나 저하되어 질병과 각종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뇌종양이 생겼을 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뇌하수체 기능항진증(hyperpituitarism)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중에 하나이상의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어 나타나는 질환으로 뇌하수체의 종양이나 증식이 원인이 됩니다.

증상

전신으로는 성장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갑상샘이나 부신피질, 생식샘에서 호르몬이 과잉 분비되게 됩니다. 작게는 종양이기 때문에 뇌에 부분적으로 압박을 가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뇌의 시신경을 압박함으로 시력에 장애가 생긴다라던지 자율신경 기능면이나 식욕, 체온 조절 등에 대해 장애가 생길 수 있고 압박으로 인해 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거인증(giantism) : 사춘기 이전에 발병하며 성장호르몬이 과잉분비되어 뼈가 과도하게 성장하는 것입니다.
  • 말단비대증(acromegaly) : 성인의 경우에는 키의 성장은 없지만 뼈가 두꺼워 집니다. 손도 두껍고 넓어집니다.
  • 쿠싱병 : 쿠싱증후군의 한 형태이고 부신피질호르몬이 과다 분비되어 발생합니다.
  • 성기능장애 : 생식샘자극호르몬이 과다 분비되어 성의 조숙을 초래하거나 무월경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뇌하수체 기능저하증(hypopituitarism)

뇌하수체를 절제하거나 종양, 괴사 등에 의하여 유발됩니다.

증상
  • 난쟁이증(dwarfism) : 성장호르몬이 결핍되거나 뇌손상이 있을 경우에 나타나게 됩니다. 난쟁이증은 조기에 진단한다면 성장호르몬 주사를 통하여서 치료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진단이 중요합니다.
  • 2차성 부신피질 부전 : 부신피질에서 호르몬 분비가 감소되는 것을 말합니다.
  • 점액수종(myxedema) : 갑상샘호르몬이 부족하여 갑상샘 기능 저하증의 증상인 점액수종이 나타나게 됩니다.
  • 성 장애 : 생식샘자극호르몬이 부족하기 때문에 불임이나 무월경, 2차 성징의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종양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항진증일 경우 성장호르몬을 억제하는 약물을 복용하고 저하증일 경우 부족한 호르몬을 대체하는 요법을 시행합니다. 이후에 종양일 경우 경접형골 뇌하수체 절제술(transsphenoidal hypophysectomy)를 통하여 부분이나 전체를 절제할 수 있습니다. 뇌하수체 절제술을 받은 경우에는 남은 생애 동안에 코티손을 투여하여야 합니다. 

댓글